clear : 화면 지우기
[locate]
빠르게 파일을 찾아야 할 때(빠름)
파일 이름만 알고 있을 때
[find]
정확한 검색 결과가 필요할 때(느림)
[퍼미션/슈퍼 사용자]
$ ls -l(파일소유자확인) 했을때 로그에 뜨는 ex) user(파일의 소유자) user(파일의 소유 그룹)
$ groups : 어떤 그룹에 소속되어 있는지 확인
sudo usermod -aG [그룹핑할 계정] [부모계정]
cat /etc/group | grep [계정의 등록된 그룹확인]
group [계정] : 그룹확인가능
sudo userdel -r [삭제할 계정이름]
cat /etc/passwd | grep guest : [계정삭제 확인]
[파일 퍼미션]
'누구에게 어떤 권한을 허가'에 대한 설정 정보
r : 읽기, w : 쓰기, x : 실행
예 : rwxr-xr-x
chmod u+w file.txt
$chmod [누구에게][+][어떻게] [파일이름]
[su 명령어]
su root : root 권한 갖기
exit : 권한 갖기 종료
sudo passwd root : 슈퍼 사용자의 암호 설정
su - : 슈퍼 사용자의 환경으로 초기화하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하이픈을 추가해서 실행해야 함
su - [계정] :
user 추가 : sudo adduser [추가할 계정이름]
usermod -aG sudo [그룹핑할 계정이름]
su와 sudo의 차이
sudo는 명령어 하나씩 실행권한 받아서 실행함
su는 슈퍼 관리자로 가능
[프로세스]
1. 메모리 위에 올린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 함.
2. 리눅스 커널은 각 프로세스에게 프로세스 id라는 고유한 번호를 할당
PID : 프로세스 id
CMD : 실행한 명령어를 의미
ps aux | grep cal(cal로 시작되는것 찾는법)
: a(모든프로세스를 표시합니다.)
: u()
: x()
kill -9 [PID번호] : 삭제됨
[잡]
여러 작업을 병행시켜 효율적으로 처리가능
일시 정지가능 백그라운드 가능
ctrl + z 하면 [jobs] 목록에 들어감
작업불러내는 방법 : fg %[잡목록 번호]
*공유폴더 지정해주기
sudo mkdir [공유폴더 설정할 이름]
sudo mount -t vboxsf <공유폴더로 경로 설정할 폴더이름> [공유폴더 설정했던 이름]
-t vboxsf = 마운트할 파일 시스템의 종류를 지정한다.
cd 공유 : 공유폴더로 가기
sudo umount 공유
카테고리 없음
[리눅스] 0806
반응형
반응형